미국달러 환율 전망 | 2025년 하반기 완벽 정리

목차

올해 들어 달러/원 환율이 1,400원대를 넘나들며 연일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국내 정치적 불안정이 겹치면서 환율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었죠. 앞으로 미국달러 환율이 어디까지 갈지, 언제쯤 안정될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이 글에서는 2025년 미국달러 환율 전망에 대해 전문가들의 최신 분석과 주요 변동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현재 미국달러 환율 상황은 어떤가?

미국 달러/대한민국 원 환율은 2025년 9월 8일 1,386.7200으로 상승하여 이전 세션 대비 0.02% 상승했습니다. 2025년 연초에 달러/원 환율이 1,450원을 상회하고 있다. 불과 1개월 전만 해도 1,400원 초반이었고, 그 이전인 9월 말에는 1,310원을 기록했다. 3개월 동안 환율은 무려 140원, 고점까지는 170원이 급등했다.

현재 환율 수준은 과거 대비 상당히 높은 수준입니다. 하지만 이전 7개년 평균 환율은 1,145원, 2015년부터 2024년까지 10개년 평균 환율은 1,198원이다. 현재 환율 1,450원대는 분명 이전보다 과도하게 높다.

현재 달러/원 환율: 1,386원대 (2025년 9월 기준)
연초 고점: 1,450원대까지 급등
10년 평균: 1,198원 (현재 수준이 과도하게 높음을 시사)

2025년 하반기 미국달러 환율 전망은 어떻게 될까?

전문기관별 전망치

2025년 09월의 원 달러 환율 전망. 외환 시세는 1389 원부터 시작하고 최대 1415 원, 최소 1373 원으로 예측됩니다. 평균 환율은 1392.71 원. 2025년 10월의 달러 환율 전망. 외환 시세는 1394 원부터 시작하고 최대 1422 원, 최소 1380 원으로 예측됩니다. 평균 환율은 1399.25 원.

불확실성이 해소되면 내년에는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 중반까지 내려올 수 있습니다.라고 IBK투자증권 정용택 선임연구위원은 전망했습니다.

시기예상 환율 범위평균 환율변동 요인
2025년 9월1,373~1,415원1,393원정치적 불안정 해소
2025년 10월1,380~1,422원1,399원트럼프 정책 불확실성
2025년 하반기1,300원대 중반1,350원 내외불확실성 완화 시

기업 전망

기업들은 2025년 연평균 원달러 환율을 1,433.2원으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대기업들은 환율이 상당 기간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무엇인가?

Fed 기준금리 정책

연준은 별도로 공개한 경제전망요약(SEP)에서 내년 말까지 금리 인하 폭을 0.50%p로 제시했다. 이는 9월 1.00%p를 대한 것에서 크게 축소된 수치다. 미 연준이 금리 인하 속도를 늦추면서 달러 강세 요인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기준 금리는 마지막 기록으로 4.50%입니다. 현재 미국 기준금리는 4.25~4.50%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으며, 2025년에는 제한적인 금리 인하만 예상됩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정책

금융통화위원회는 다음 통화정책방향 결정시까지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2.50%)에서 유지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하기로 하였습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월 16일 2025년 새해 첫 통화정책 방향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00%로 유지했다.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후반으로 여전히 높은 상태에서, 세 차례 연속 인하로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더 벌어지면 원화 가치가 떨어져 환율이 더 뛸 가능성을 우려한 것으로 판단된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

미국 47대 대통령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됨에 따라 지난 2018년의 미·중 무역 갈등 재현이 우려되었다. 2025년 1월부터 4월까지 미국의 평균 적용 관세율은 2.5%에서 추정치 27%로 상승했으며, 이는 스무트-홀리 관세법 이후 100여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미국 기준금리: 4.25~4.50% 유지, 제한적 인하 전망
한국 기준금리: 2.50% 유지, 금리차 확대로 원화 약세 압력
트럼프 관세정책: 평균 관세율 27%까지 상승, 무역갈등 심화
국내 정치상황: 탄핵 정국 등 정치적 불확실성 지속

환율 상승이 개인과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환율 상승은 수입물가 상승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유발합니다. 해외여행 비용이 증가하고, 직구 비용도 늘어납니다. 반면 수출 관련 주식이나 달러 자산을 보유한 경우에는 긍정적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업에게 미치는 영향

기업들은 美 정부의 관세정책이 지속될 경우 2025년 수출액은 2024년에 비해 평균 4.9% 감소한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은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경영 애로요인으로 ‣트럼프정부 관세정책의 잦은 변경에 따른 불확실성 증가(24.9%), ‣ 관세분쟁에 따른 글로벌 경기악화(24.0%) ‣미국 수출감소(18.8%), ‣환율변동 리스크 증가(17.5%), ‣ 중국 덤핑수출에 따른 피해(10.5%) 등을 꼽았다.

환율 안정화는 언제쯤 가능할까?

단기 전망 (2025년 하반기)

정용택 IBK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인 관련 불확실성이 많이 반영돼 환율이 1400원을 웃도는 것으로 보인다”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인선이 완료되고 관련 정책이 구체적으로 발표되면 불확실성이 해소돼 환율은 안정권에 진입할 전망”이라고 했다.

중장기 전망 (2026년 이후)

환율이 1,500원을 상회하려면 미국 달러가 더 강세를 보이거나, 원화가 더 약세를 띠어야 한다. 이 역시 불가능한 건 아니다. 무엇보다 미국 경제가 고금리 상황에서도 경기 호황을 누릴 수 있었던 또 다른 배경으로는 탄탄한 고용 수요와 AI 등 새로운 산업의 등장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을 꼽을 수 있다. 하지만 경기는 사이클이 있고, 향후 경기와 금리에 대한 기대를 반영하는 환율도 사이클이 있다.

환율 리스크 대응 전략은 무엇인가?

개인 투자자 전략

환율 변동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자산 포트폴리오의 다변화가 중요합니다. 달러 자산 비중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고, 환헤지 상품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기업 대응 전략

기업의 원·달러 환율 리스크 대응방안과 관련해서는 ‣수출입 단가 조정(22.3.%), ‣수출시장 다변화(20.8%), ‣생산성향상 등 기업경쟁력 강화(19.8%), ‣원자재 및 부품 수입처 다변화(17.3%), ‣환헤지 전략확대(10.1%)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핵심 대응 전략:

  • 수출시장 다변화: 미국 의존도 축소, 신흥국 시장 개척
  • 환헤지 전략: 선물환, 옵션 등 파생상품 활용
  •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을 통한 경쟁력 강화
  • 공급망 다변화: 수입처 분산으로 리스크 분산

에디터 노트

2025년 미국달러 환율 전망을 살펴본 결과, 단기적으로는 1,400원 내외에서 높은 변동성을 보이다가 점진적으로 1,300원대 중반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정책과 미중 무역갈등 재연 가능성, 그리고 한미 금리차 확대 등의 요인이 환율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현재 환율 수준이 과거 평균 대비 상당히 높다는 점입니다. 10년 평균 환율 1,198원과 비교하면 현재 1,400원대는 약 200원 이상 높은 수준으로, 이는 구조적 요인보다는 일시적 충격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자와 기업 모두 환율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개인 투자자는 달러 자산 비중 조절과 환헤지 상품 활용을, 기업은 수출시장 다변화와 공급망 재편을 통해 환율 충격을 최소화해야 할 것입니다.

2025년 9월 14일 업데이트

댓글 남기기